모두의 프린터는 어떠한 경우에도 회원가입, 카드결제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더 편리한 환경을 위한 추가 구성 MSYS2!

Go는 CGO라는 형식으로 C언어 코드를 직접적으로 Go코드와 함께 사용도 가능하고 C/C++를 비롯한 다른 언어로 개발된 라이브러리나 DLL등을 끌어다 쓰는 짓 등도 가능한 언어입니다. 근본적으로 윈도, 리눅스, MacOS 등을 비롯 다양한 OS에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 가능하고 더군다나!!

윈도에서도 리눅스, MacOS 등 다른 OS용의 프로그램을 명령어 몇 줄만으로 같은 코드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놈입니다! (캬~) 하지만 기본적으로 통합개발환경(IDE)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윈도 프로그램에 사용되는

MS의 Visual Studio 같은 개발 툴 하나로 대부분의 모든 것을 커버해주는 편리성은 좀 떨어지는 편입니다.

여는 간에.. 그런 이유로 제 경우에는 리눅스 개발에서 사용하던 유용한 툴들을 접목시켜서 사용하는 편인데요 윈도에서도 리눅스의 명령어나 C언어 컴파일러인 gcc 등을 사용할 수 있도록 먼~옛날부터 해외의 여러 선지자들께서 MSYS라는 축복을 내려주셨습니다.

각종 리눅스의 명령어들 때문에만 이걸 설치하는 건 아니고요 앞서 시간에 패키지(Package)에 대해서 안내하면서 다른 누군가가 만들어둔 유용한 것들을 가져다 사용할 수 있다 하였지요 그러한 것들 중에는 내부적으로 C언어로 개발된 C 코드를 같이 쓰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이런 때에는 C 코드를 컴파일해줄 컴파일러가 추가적으로 시스템에 필요합니다.

물론 복잡한 과정은 Go가 알아서 해주지만 앞으로 어떤 놈들을 끌어다 쓸지는 모르니 관련 프로그램은 설치해 두도록 합시다!

MSYS2의 다운로드 사이트 링크입니다

최근에는 대부분 64비트 CPU에 64비트 OS를 사용하니  x86,64용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하십시오. 만약 32비트 CPU… 이면… 아래 i686을 받으시면 되는데 ( 설마 64비트 CPU인데 32비트 윈도를 쓰시는 변태는 없으시겠죠? ) 32 비… 트 CPU라면 솔직히 그냥 컴퓨터부터 바꾸시기를 권장드립니다.

Next!! 클릭!!

기본 설치경로는 C:\msys64입니다 전체 설치를 끝내면 2~4기가 정도 용량을 차지할 겁니다. C드라이브의 용량이 부족하시다면 다른 경로로 변경하셔도 됩니다. 저는 기본대로 설치하겠습니다.

시작 메뉴에 생기는 바로가기 이름과 관련된 건데 굳이 바꿀 이유 없으니 그대로 Next!!

바로 설치 과정이 진행됩니다. 잠시 기다리세요~~

잠시 후 설치가 끝나면 위 화면이 나오는데요 Run MSYS2 64bit now를 꼭 체크하시고 ( 기본이 체크로 되어 있습니다만 혹시 모르니까 ) Finish 버튼을 클릭하십시오.

이런 MSYS 콘솔이 실행됩니다. 위 검은 콘솔 창에

pacman -Syu

라고 입력 후에 엔터!!

설치를 진행하시겠습니까? [Y/n]에서

Y입력 후 엔터!!

이렇게 MSYS2의 업데이트가 진행됩니다

여기까지 진행되었으면 이 창을 닫으십시오

이런 메시지가 뜰 텐데요 상관없으니 OK 클릭하시면 됩니다

이제 윈도 버튼을 누르시고

MSYS2 64Bit -> MSYS2 MinGW 64-Bit을 실행하십시오.

pacman -Su

라고 입력 후 엔터!!

설치를 진행하시겠습니까? [Y/n] 이 표시되시면

Y입력 후 엔터!!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입력 커서가 다시 활성화됩니다.

이제 64Bit 개발 툴들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pacman –needed -S git mingw-w64-x86_64-gcc base-devel

라고 입력 후 엔터! ( 복사 후 마우스 우클릭에 Paste를 통해 붙여 넣기 가능 )

선택을 입력하십시오. (기본값=all):라고 나오면

그냥 엔터!!!!

설치를 진행하시겠습니까? [Y/n] 이 나오면

Y 입력 후 엔터!!

설치가 진행됩니다.. 대략 10분 이상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일단 현재 상황에서 설치하는 이유와 설치하지 않는 이유를 다 나열하기엔 무리가 있으니까… 기본적인 건 다 깔도록 합니다.

64비트를 위한 것들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우선 이 창은 닫으십시오.

윈도 버튼을 누르시고 MSYS2 MinGW 32-Bit를 실행하시면

이렇게 다시 또 콘솔 창이 뜹니다만 아까 창과 다른 점은 MINGW32라고 32비트용이 실행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pacman –needed -S git mingw-w64-i686-gcc base-devel

위 내용을 입력 후 엔터!!

앞서 64비트용 설치 시에 설치 또는 업데이트된 것들은 건너뛰게 되고요 32비트용으로 설치가 필요한 것들만 진행하게 됩니다 설치를 진행하시겠습니까? [Y/n] 이 뜨면 Y를 입력 후 엔터!!

설치가 진행됩니다

모든 설치가 끝났습니다. 32비트용 설치는 금방 끝날 겁니다.

이제 윈도 환경변수 설정을 하도록 합니다.

탐색기에서 내 PC에 마우스 우클릭을 한 후 속성을 엽니다

시스템 창에서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

환경변수(N) 클릭

시스템 변수 중에서

Path를 찾아서 선택 후 편집 버튼을 클릭합니다

새로 만들기(N)을 클릭하면 맨 하단에

새 항목의 입력창이 활성화됩니다.

이렇게 MSYS2의 설치경로와 usr\bin을 Path에 추가합니다.

제 경우 기본 경로에 설치하였으므로

C:\msys64

C:\msys64\usr\bin

이렇게 2개를 추가하였습니다.

이렇게 추가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시고

떠있는 속성 창들은 다 닫으셔도 됩니다

윈도 아이콘에 마우스 우클릭한 후 Window Powershell을 선택해 실행합니다

Powershell 이 뜨면 make라고 입력 후 엔터!

위와 같이 

make: *** No targets specified and no makefile found.  Stop.

라고 오류가 뜨면 정상입니다.

이제 Go프로그래밍을 하면서 Makefile을 통해  좀 더 편리한 컴파일 및 자동화(?)를 위한 기본적인 환경 구성이 마무리되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직접 뭔가를 만들어 볼 예정입니다. 길고 복잡 한글 읽으시느라 고생하셨습니다.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