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프린터는 어떠한 경우에도 회원가입, 카드결제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출력물을 인터넷 팩스로 보내려 할때

종종 문의를 해오시는 사용자 분들이 많으셔서 ..

한가지 팁을 좀 알려드리려고 글을 씁니다.

팩스기능이 있는 복합기가 있으신 분들이야 출력해서

바로 보내시거나 아님 컴터랑 연동이 될경우

PDF파일을 인쇄하듯 팩스를 보낼수도 있으니 상관 없지만..

인터넷팩스 사이트 같은데를 이용하시려는 분들중에서

사이트에서 PDF가 아닌 이미지로만 업로드가 가능한 경우

어찌해야 하느냐를 물어오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게 특정 시즌(?)이 있는진 모르겠지만 주기적으로 

문의가 있다가 없다가 하네요.

제가 관리페이지 메뉴들에 대한 설명서를 좀 작성을 해야하는데

기능 변화가 자주 있다보니 반은 포기(?) 했다가 ..

여직 제대로된 기능설명을 못하고 있어서이기도 합니다만..

모두의 프린터 관리페이지의 변환메뉴에 변환포맷을 보시면

출력물을 변환할 포맷을 지정 가능하십니다.

PDF 외에도 .. PDF에 패스워드를 걸어서 저장도 가능하고

JPG, TIFF, BMP, PNG 등의 이미지 파일로도 변환이 가능합니다.

JPG, BMP, PNG의 경우 페이지당 하나의 이미지파일이 생성되서

10페이지면 MOP_1.jpg, MOP_2.jpg 이런식으로 저장이되구요.

여러 페이지를 이미지로 저장하고자 하실때

가장 유용한건 TIFF 포맷이 되겠습니다.

옛날부터 스캔을 자주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원래 팩스나 스캔의 기본 이미지 포맷이

TIFF이지요 .. 인터넷 팩스 사이트들도

TIFF 이미지를 지원하는게 일반적입니다. 

TIFF 이미지가 재밌는건 한 파일에 여러 페이지를

저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두의 프린터 저장 포맷에 TIFF 이미지 관련된

옵션이 4개가 존재하는데요.

TIFF : 비압축, 페이지당 개별 파일 생성

TIFF(단일파일): 비압축, 하나의 파일에 여러페이지 저장

TIFF+LZW: LZW압축, 페이지당 개별 파일 생성

TIFF+LSW(단일파일) : LZW압축, 하나의 파일에 여러페이지 저장

기본적으로 TIFF는 비압축 포맷이라 파일 크기가 어마어마 합니다.

600DPI 이상으로 저장되면 페이지 한장에

수백매가는 우숩게 차지하기도 합니다.

그런 이유로 LZW방식으로 데이터 압축을 지원하도록

향후 개선된 TIFF 포맷이 나오게 됬는데요.

이렇게 압축, 비압축, 개별파일, 단일파일로 옵션이

구분된 가장큰 이유는 사이트마다 지원하는 포맷이 다르거나

이미지 뷰어에 따라서 다중페이지를 포함한 TIFF 를 제대로

표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라고 옵션을 분리해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렇듯 다양한 옵션이 존재하니 .. 

필요에 따라 설정을 변경하여 사용하시면

더욱 유용한 프로그램이 될것 같네요.

이상입니다 ^^

%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