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soo 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DRM 솔루션 인데요
보통 기업시장에서는 내부 자료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고.. eBook 같은 출판업계에선 스샷을 찍는다거나
화면을 녹화한다거나 하는 등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 Fasoo 라는 놈이 모두의 프린터 사용과
어떤 관련이 있느냐?
문서 유출을 방지하거나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다는
범주 안에 프린터를 통한 출력을 관제하는 기능이
포함되기 때문이지요. 한마디로 이 Fasoo 라는 놈이
가진 기능중에는 허용되지 않은 프린터를 통한 출력
이라던가 .. 허용되지 않은 위치에서의 출력이라던가 ..
여튼간에 출력을 맘대로 하지 못하게 할수도 있다는 겁니다.
물론 Fasoo 는 그 사용처에 따라서 엄청나게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Fasoo 솔루션들이 모두의 프린터에
영향을 주는것은 아닙니다만. 최소한 제가 지금까지 봐온
사용자들의 컴퓨터에 설치된 Fasoo 들은 대부분
모두의 프린터의 사용에 직접적으로 제한을 걸고
정상동작을 하지 못하도록 합니다.
그런 이유로 Fasoo 가 설치되고 동작중인 컴퓨터에서
모두의 프린터를 실행하시는 경우 장애요소에 대한
안내로 Fasoo 가 존재하니 이를 제거하기 전에는
모두의 프린터가 정상동작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고
안내하고 있습니다.
근데!
여기서 문제는 ㅋㅋ
이 Fasoo 라는 놈이 사용처가 엄청나게 광범위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프로그램 이름에 Fasoo 라는 단어가
포함되지 않기도 한다는 것이지요.

이런식으로 DRM Client 라던지

물론 이런식으로 직접적으로 Fasoo 라는 명칭이
프로그램의 이름에 명시되기도 합니다.
근데 간혹 특정 서비스 업체에서 Fasoo 를 공급받아
자신들 회사명이나 서비스명으로 프로그램명을
변경헤서 제공하기도 하기 떄문에
생각보다 프로그램 이름에 Fasoo 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정말 많다는 거지요.
또하나의 문제는 윈도10의
설정의 프로그램 추가 제거의 경우

이렇게 프로그램의 이름만 가지고 표시된다는 겁니다.
그럼 어찌하느냐!!
윈도10에도 전통적인 방식의 제어판이 존재합니다.

윈도 시작버튼을 누르시고 ‘제어판’이라 입력하세요
그럼 제어판 앱이 뜨게 됩니다 이걸 클릭하시고

제어판이 뜨게되면 프로그램 -> 프로그램 제거를 클릭합니다.

이제 프로그램 이름 뿐 아니라 게시자, 설치날짜등을
한 화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이중 프로그램의 이름또는 게시자 명에
Fasoo , Fasoo.com , Fasoo.com Inc..
등이 적혀진 놈들
그놈들이 Fasoo 입니다..
경우에 따라선 한놈이 아닐수도 있으니.
확인후 제거하시기 바랍니다.
대부분의 경우 이 프로그램들은
특정 사이트를 이용할 경우에만 필요한 경우가
많으니 .. 제거하시더라도 향후
전자책이든 뭐든 다시 이용하려 할때
일반적인 사이트들의 보안 플러그인들 같이
재설치 되는 구조이니 과감히 삭제하셔도 되겠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