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포스트는 맥OS나 리눅스등 MS 윈도가 아닌 OS에서 윈도 가상머신에서
민원24, 정부24를 대상으로 모두의프린터를 사용하시려는
경우 호스트OS에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의 배포 및 설명글입니다.
일반 사용자들은 이 글의 내용은 보실 필요 없습니다!!
관련 내용을 이해가능한 전문가(?)용 포스트입니다.
2019.07.27 19:37:12 이전 버전의 바이너리를 사용중이신 경우 이 글에 업로드된 파일로 교체하여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안그러면 민원24, 정부24에선 9016오류 을 보시게 됩니다.
우선 이 글은 기본적으로 컴퓨터에 대한 지식이 일정 수준 이상은 있으신 분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최소한 가상머신을 모프가 아니더라도 사용중이신 분들, 그리고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지식은 있으신 분들만 이 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 글에서 다루는 MopRelayServer라는 놈은 .. VirtualBox 나 VMWare에서 동작하는 가상머신에서 사용되는 MopRelayServer 라는 프로그램을 여러 OS에 맞춰 실행파일을 만들어 배포하기 위해 작성하였습니다.
이 모프 릴레이 서버라는 놈의 역할이 무엇이냐 하면..
최근 9016 사태에 의해 일부 사이트에서는 스마트폰이나 가상머신을 연동하여 사용하여야지만 9016오류를 피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는데요…
그리하여 출력하는 컴퓨터와 다른 IP 주소를 가지는 장치(스마트폰등)를 거쳐서 데이터를 다시 받으면 .. 출력을 하는 컴퓨터와 이를 수신하는 프린터(역할의 무언가)가 다른장치이기 때문에 9016을 피해서 인쇄가 가능한 상황입니다.
사실 일정 수준 이상의 사양만 된다면 .. 가상머신으로 처리가 가능하지만 최근에 문제가 되는 경우가 IP를 추가로 받을 수 없는 환경이신 경우가 좀 많더라구요 .. PC는 여러대이나 IP주소는 맘대로 추가로 받지 못하는.. ( 직장이나, PC방 같은 경우.. )
그리고 이미 여러 이유로 가상머신을 사용중이신 분들의 경우 기존에 사용중인 가상머신에 릴레이 서버만을 띄우고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이 릴레이 서버를 가지고 구성할수 있는 몇가지 예를 들어보자면 ..
1. PC가 여러대인 경우
컴퓨터A에는 모두의프린터를 구동시키고 컴퓨터B에는 MopRelayServer를 실행한다.
컴퓨터A의 모두의프린터의 관리페이지에서 컴퓨터B의 IP주소를 입력후 수동설정하고.
컴퓨터A에서 모프를 통해 출력을 하면 컴퓨터A가 컴퓨터B에게 인쇄데이터를 쏘고 컴퓨터B는 이를 받아 다시 컴퓨터A의 모두의 프린터에 전달한다.
컴퓨터A의 모두의프린터가 전달받은 데이터를 PDF로 변환한다.
2. 이미 사용중인 가상머신이 존재하는 경우
편의상 가상머신을 구동한 컴퓨터를 호스트PC라 칭하고 그 안에서 동작하는 가상머신은 VM이라고 칭합니다.
VM에 MopRelayServer를 구동 호스트PC에 모두의프린터 실행, 호스트PC에서 인쇄명령을 내리도록 구성하거나
각종 플러그인 떄문에 가상머신에서만 민원서류 발급을 하시는 경우에는 호스트PC에 MopRelayServer를 실행하고 VM에서 호스트PC의 아이피로 수동설정하여 진행하는 방법.
맥OS나 리눅스 등에서 가상머신 소프트웨어를 통해 윈도우를 VM으로 동작시키는 경우에는 호스트PC에 MopRelayServer를 실행한후 VM의 모두의프린터 관리페이지에서 호스트PC의 IP주소로 수동설정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든 구성에서의 기본은!!
PC간의 통신에 문제가 없어야 함이 기본이구요.
가상머신을 통하는 경우에도, 9016을 피하려면 호스트PC와 VM이 각자 독립적인 IP주소를 가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보통 브릿지 모드(Briege Mode)로 가상머신의 네트워크가 지정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런식으로 브릿지 방식으로 네트워크 구성을 하여야 합니다.
PC를 두대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두 PC가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어야 하구요. 두 컴퓨터가 공인아이피를 가지고 있다면 서로 떨어져 있어도 상관은 없으나, 최근에는 일반적이진 않지요?
자 이제 파일들 올려 봅니다..
** 2019년 7월 26일 9016 사태 해결된 바이너리들 입니다. 7월 26일 이전 바이너리를 사용중이신 경우 민원24, 정부24를 사용하시려는 경우 아래 파일로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26일자 버전에 테스트코드가 일부 딸려들어가서 .. 바이너리 새로 올립니다. 2019.07.27일 오전 12시 26분 이전에 받으신 분들은 새로 받으세요. 번거롭게 해드려 죄송합니다 ^^
2019년 7월 27일 오후 7시 50분 이전에 올려진 바이너리를 사용중이시면 아래 파일로 교체하여 사용바랍니다.
OS | 32Bit | 64Bit |
---|---|---|
FreeBSD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Linux(x86)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Linux(ARM)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Linux(MIPS)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Linux(MIPSLE)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Darwin(MacOSX)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MS Window | 다운로드 | 다운로드 |
리눅스의 경우 x86, arm, mips, mipsle 에 대한 바이너리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x86은 일반적인 intel 이나 amd cpu를 사용하는 일반 PC들을 말하는 거구요.
arm 은 보통 arm core 용 리눅스 배포본들에서 실행가능한 바이너리입니다.
루팅된 안드로이드도 아마 arm 용 바이너리가 실행 가능할 것으로 보입니다.
mips, mipsle 의 경우 보통 임베디드 장치들중 soc 로 칩 구성이 되어진 경우에
많이 쓰이는데 대표적인게 ..
OpenWRT 나 DD-WRT를 사용하는 wifi 라우터나 공유기등을 들 수 있겠습니다.
OpenWRT, DD-WRT를 펌웨어로 사용하는 라우터를 쓰시는 경우 스펙을 보시고 cpu가
mips나 mipsle 인 경우 해당 바이너리를 사용가능할 것입니다.
모든 바이너리를 실질 장치에서 테스트 해본것은 아니니..
문제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각 OS와 아키텍처에 맞는 파일을 받아서 사용하시구요 잘 모르시겠으면 그냥 32Bit 받아 쓰세요. 윈도를 제외한 나머지 OS들은 대부분 유닉스계열이니 chmod 755 든 700 이든 실행권한을 주셔야 실행 될 것이구요..

실행하시면.. 위와 같이 .. 시스템에 존재하는 네트워크 어뎁터중 가장 첫 어뎁터의 IP주소를 출력해 줍니다만.. 만약 네트워크 어뎁터가 여러개가 존재하시는 경우 반드시 .. ipconfig, ifconfig를 통해 통신가능한 IP주소를 확인후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윈도라면 ipconfig
리눅스 등에서는 ifconfig 등으로 확인하셔도 됩니다. MopRelayServer를 실행하는 PC나 가상머신의 IP주소를

모두의 프린터 관리페이지의 프린터설정 -> 프린터 IP주소에 입력하시고, 수동설정을 진행한후 사용하시면 됩니다.
어떤 설정이던 프린터 관련 설정을 변경 하신 경우에는

반드시 시험인쇄를 진행하시고 변환된 PDF파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만약 출력PC와 MopRelayServer같 통신에 문제가 있다면, 각 PC의 백신, 윈도방화벽을 잠시 끄고 시도해 보십시요. 사용 완료후 보안을 위해 방화벽 및 백신은 다시 꼭 구동시키시구요.. ( 이게 싫으시면 예외설정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