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모두의 리모트를 업데이트합니다. 그간 수정해야지 수정해야지 하면서 미뤄뒀던 부분들을 좀 수정했습니다.
1. 클라이언트 접속 프로필 기능 추가

기존 버전은 매번 PIN번호와 패스워드를 기억하거나 어디 다른곳에 복사해두고 매번 입력해서 사용해야 했습니다만 최근에 자주 사용을 하다 보니 조금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프로필 관리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렇게 프로필명, PIN, 패스워드를 입력 가능한 창이 뜨게 됩니다. 프로필 명과 PIN은 필수 입력이고요, 패스워드는 입력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 보안을 중시하셔서 매번 패스워드 정도는 직접 입력해가며 사용하실 거면 패스워드는 비워둔 채 적용하시면 되겠고요, 패스워드까지 다 입력해서 적용하시면 프로필 목록에서 더블클릭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프로필의 수정이나 삭제는 위와같이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싶은 프로필을 선택한 다음 수정, 삭제 버튼을 클릭하시면 되겠고요..
프로필 리스트에서 원하는 프로필을 더블클릭 하면

이런 식으로 연결 여부를 묻게 됩니다. 예(Y)를 클릭하시면 바로 해당 프로필로 접속을 시도합니다.
2. 클라이언트 종료 창 팝업 시 최소화
vnc 서버에 접속이 되고 원격제어창이 뜨면

이런 창이 뜨게 되는데요.. 이게 화면 가운데, 최상위로 뜨니 매번 최소화시키기 귀찮다는 의견이 많았고 저도 자주 써보니 그런 점이 불편하여 이 창을 최소화된 채로 생성되도록 수정하였습니다.
3. 서버 버그 수정
버그라고 하기는 좀 애매하긴 한데요.. 모두의 리모트 서버는 실행시 PIN등록과정 및 접속을 위한 아이피 정보 등을 암호화하여 서버에 전송해 둡니다.. 이렇게 전송된 정보를 통해 외부에서 원격제어가 가능해지는데요.. 외부에서 원격제어 요청을 할 서버의 포트는 30분마다 주기적으로 변경해서 새로 등록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고정된 포트로 계속 접속가능한 서버가 동작하는 건 보안적으로 좋지 않은 데다 가정용 인터넷의 경우에는 확률이 희박하다고는 하나 경우에 따라서 외부 공인 아이피가 변경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셋톱이 업그레이드를 위해 재시작 됫다거나.. 같은 라인에 새로 인터넷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기사가 이집저집을 죄다 리셋을 했다거나.. 통신사에서 장비 교체나 기타 여러 이유로.. 아이피 변경이 일어날 확률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닌데.. 외부에 있는 입장으로 아이피가 변경된 이유로 접속하지 못하는 일을 방지하기 위하여 30분 주기로 새로 연결 정보를 갱신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보통 윈도 시작시 자동실행 옵션을 사용하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컴퓨터를 계속 켜놓는 것도 전기세 문제가 있을 수 있어서 Wake on Lan 같은 기능으로 필요시에 외부에서 집 컴퓨터를 켜고.. 접속을 하시려는 경우에 간혹.. DHCP로 아이피를 받아서 인터넷 연결 설정이 끝나기 전에 모두의 리모트 서버가 먼저 켜지면서 인터넷 통신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초기화 과정을 거쳐버리니.. 아이피 정보 등을 서버에 전달할 수 없어서.. 연결을 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초기 실행시 관련 부분에 대해 좀 더 보강을 하였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