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월 19일 자로 무인 클라우드 출력시스템 CLOPY 라는 서비스와 관련해서 안내글을 작성한적 있습니다. 이 무인 클라우드 출력시스템을 쓰는 환경에서 프린터를 쓰기위해 이 프로그램을 설치를 하게되면 모두의 프린터를 비롯 어떤 인쇄도 해당 시스템에선 진행할 수 없게되버립니다. 이 KAPPClient 라는 놈이 설치되면서 동작하는 SpoolServerService 라는 프로세스가 시스템의 모든 인쇄를 가로채서 자신들의 무인클라우드 프린터로 보낼라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모두의 프린터 실행시에 해당 프로세스가 존재할 경우 위와 같이 장애요소 안내를 표시하고 있습니다만 .. 이 메시지를 보고 이것저것 해보긴 했는데 여전히 않된다 하시는 사용자분이 계셔서 원격제어를 해보니 .. 제가 안내하는 정지 시키거나 어떤 경로상의 프로그램을 지우라한 경로 자체가 바뀌어 있더군요 … 더 보기…
모두의 프린터는 초기 실행시 Samsung CLX-6240 Series PS, CLX-6200 Series PS 2개의 프린터를 설치합니다. ( ARM 윈도의 경우 HP Color LaserJet 4500 PCL 5, 5500 PCL 6) 이렇게 모두의 프린터용으로 설치되는 프린터의 포트명은 127.xxx.xxx.xxx 같이 127. 으로 시작하는 로컬 아이피 주소여야 합니다만. 간혹 LPT1, FILE 등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말입니다. 포트명이 FILE1이나 LPT1등 127.x 로 시작하지 않는 프린터를 선택(체크)하신후에. 프린터 -> 자동설정 메뉴를 클릭하세요. 자동설정 화면이 뜨면 다른건 건드릴거 없습니다. ‘자동설정 실행’ 버튼만 클릭하시면 됩니다. 잠시 기다리시면 프린터 목록이 갱신되고 프린터의 포트명이 127.xxx.xxx.xxx 로 변경되었으면 정상적으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설정이 완료된 겁니다.
본 글은 x86/x64 버전의 모두의 프린터에만 해당하는 글입니다. 에뮬레이트 모드로 동작하는 Window ARM10/11의 경우 기본 설치 프린터가 다른 모델임으로 이 글의 내용과는 상관 없습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초기 실행시 모두의 프린터 용도로 사용할 2개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기본으로 설치합니다. 이렇게 2개의 프린터를 모두의 프린터 용으로 자동으로 설치를 하게 되는데요. 이 두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컬러 프린터임으로 시험인쇄를 하면 이렇게 컬러로 PDF가 만들어져야 정상입니다만, 모두의 프린터를 재설치를 해보고, 프린터를 삭제후 재설치를 해봐도 계속 흑백으로만 출력이 되는 분들이 간혹 계십니다. 윈도 프린터 스플러와 관련된 레지스트리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데요. 이렇게 윈도에 문제가 존재해서 프린터의 설치과정에서 부가적인 세부 설정을 … 더 보기…
모두의 프린터를 잘 써오시던 사용자께서 오랜만에 새로 설치해서 사용을 하려다 보니 위와 같이.. “지정된 모듈을 찾을 수 없습니다.” 라는 오류가 딴다며 해결방법을 문의하셨습니다. 보통 모두의 프린터를 종종 사용하시는 분들은 모두의 프린터가 자동으로 설치하는 CLX-6240, 6200 프린터 드라이버는 설치된 상태로 그냥 두시는 경우가 많은데요 .. 이렇게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가 윈도 업데이트 과정이나 다른 프로그램의 설치, 제거 과정에서 손상이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특히.. 윈도 업데이트 과정중에 먹통이 되서 강제로 리붓을 한다던가 .. 윈도 복구과정을 거치는 와중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만.. 정확한 원인을 말씀드리긴 힘드니까요 .. 이런경우에 해결방법은 우선 프린터 드라이버를 제거후에 다시 설치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프린터 … 더 보기…
무인 클라우드 출력 시스템(https://kapp.clopy.net/) 스터디 카페나 도서관 등에서 유료 출력을 위해서 설치해야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프린터를 쓰기위해서 이렇게 Kyocera Cloud Print(컬러), Kyocera Cloud Print(흑백) 2개의 프린터를 추가하고 .. 무려 SpoolServerService라는 무시무시한 이름의 서비스를 등록시킵니다. 이놈이 설치되어 있으면 예전에 SmartPrinting 서비스 같이 모두의 프린터가 사용해야할 프린터 포트를 이놈이 잡아먹기 떄문에 모두의 프린터가 정상 동작을 할 수 없습니다. 만약 시험인쇄 진행시에 프린터 서버가 시작되지 않는 현상이 있고 내 컴퓨터에 요딴 이름의 프린터가 2개 존재 하며 KAPPSpoolMakereService 라는 서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놈때문에 문제가 되는 겁니다. C:\KAPPFiles\KAPPClient 라는 폴더에 이런 놈들이 존재하면 .. 이놈때문에 인쇄가 제대로 안되는 겁니다. 윈도 설정에 앱 및 … 더 보기…
어제 메일로 문의가 온 부분이었는데요 컴터를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이라 해결을 해드리진 못했는데 간혹 PC방서 사용하시려는 분들이 계셔서 글을 남겨둡니다. 우선 최근의 PC방들의 경우 각 컴퓨터에 HDD 없이 중앙 서버에 저장된 윈도이미지(?) 같은걸 통해서 네트워크로 부팅을 시키는등 그런 기술을 쓰는걸로 아는데요.. 결론은 어떤 고객이 컴터를 사용하고 나가면 정해진 초기상태로 리셋되는 식으로 동작하는 경우도 있고.. 그런 부분보다 PC방의 컴퓨터들이 모두의 프린터를 쓰기에 힘든경우가 있는 점은 PC방은 게임을 하기위해 가는 경우가 많다보니 컴퓨터들도 대부분 게임을 목적으로 셋팅이 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보니 게임을 하는데 불필요하다 생각되는 윈도의 서비스 들은 죽여놓는 경우가 많습니다. 게임을 하는데 불필요한 서비스? 대표적으로 프.린.터 관련된 서비스들을 … 더 보기…
최근에 윈도10 업데이트에 따라서 변경된 사항인것 같아서 관련 안내를 해둡니다. 최근에 윈도 설정의 프린터 및 스캐너나 구 제어판의 장치 및 프린터에서 기존의 경우엔 설치된 프린터들이 전부 한번에 표시가 되고 있었는데요, 최근에는 같은 프린터 드라이버를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대표적인 한놈으로 묶어서 표시하고 있는것으로 확인 됩니다. 예를들어 현재 제 컴퓨터에는 Samsung CLX-6200, M2070, MFP 830 Series 프린터가 설치되어 있는데요. 설정의 프린터 및 스캐너에 보면 MFP 830 Series 는 보이지 않고 CLX-6200만 존재합니다. 이는 CLX-6200과 MFP 830이 같은 프린터 드라이버를 사용하고 있는것으로 판단하여 묶어버린건데요. Samsung CLX-6200 Series PS를 선택해서 세부정보를 보자면.. 이렇게 “이 디바이스에는 몇가지 기능이 있습니다. 기능에 대한 설정을 … 더 보기…
간혹 발견되는 상황인데요 보통은 윈도8이나 8.1 윈도 10 Home 버전을 사용하시는 분들의 경우에 간간히 보입니다.. 원인은 솔직히 저도 모르겠군요 윈도를 제가 만든게 아닌이상 ..얼추 MS사이트에 검색해본 결과로는 윈도 업데이트 과정에서 뭔가 손상된체로 업데이트가 되거나 특정 업데이트가 실패하면서 발생하는 일이라고 나오는 경우가 있는데 인터넷에 검색되는 해결방법들로는 딱히 해결되는 경우가 없었습니다. 만약 모두의 프린터 실행후 프린터 설치가 실패하거나 프린터 목록갱신에서 멈춰 있는 경우에 대충 이런 상황 이겠지요..프린터 정보를 갱신중입니다. 잠시만 기다려 주십시요…에서 계속 갱신 안되고 멈춰 있는 경우를 들 수 있겠습니다. 관리페이지 메뉴중 ..정보 -> 시스템 정보를 선택하시면 윈도 시스템 정보창이 뜨게 됩니다. ( 창이 뒤에 뜰수도 있습니다. … 더 보기…
오늘은 오랜만에 원격제어로 문제 해결을 해드렸네요. 우선 사용설명 영상에서도 BitDefender, Avast, 카스퍼스키등의 외산 백신의 경우 최근에 평판(?)기반으로 위험성을 분류하는 경우가 많아서.. 안그래도 듣보잡인데 해외에서야 더더욱이 듣보잡 일수밖에 없는 모두의 프린터 같은 개인이 배포하는 프로그램의 경우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차단 당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오늘 원격제어를 해드린 사용자분도 Avast 라는 외산 백신을 사용중이신게 일단 문제였구요. 윈도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꾸준히 하시고 계시다면 윈도에 기본 내장된 윈도디펜더라는 보안프로그램도 최근에 성능이 꽤 좋습니다. 만약 컴터도 잘 모르고 윈도 업데이트가 뭔지도 잘 모른다 하신 상황에서 꼭 바이러스 백신은 사용하고 싶으시면 V3 Lite를 사용하십시요. 개인 사용자분들이 알약을 쓰시는 경우가 많으신데 알약의 경우 외산 … 더 보기…
정말 종종 나타나는 문제이데요 .. 설명영상에도 설명했지만..정상적으로 모두의 프린터용으로 사용할 프린터드라이버가 설치되고 자동설정이 완료되면 프린터 이름 옆에 (127.xxx.xxx.xxx)와 같은 로컬호스트 아이피주소가 적혀 있어야 정상인데요. 이 부분에 LPT1: 이나 FILE: 과 같은 IP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IP주소의 포트가 아닌 다른 명칭이 적혀있고 그 옆에 * 사용불가포트 * 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영상에서도 .. 자동설정을 따로 하시라고 말씀을 드리는데요. 이 자동설정을 하여도 로그상에 “프린터 스플러 서비스 재시작 실패. 서비스 관리자에서 Print Spooler를 재시작 하시거나 윈도 재시작 후 실행 바랍니다.” 라는 로그가 표시되며 여전히 *사용불가포트*로 표시되는 분들이 계십니다. 이는 보통 프린터 스풀러에 다른 서비스가종속되어 그 서비스도 같이 재시작을 하기전에는프린트 관련 설정이 갱신되지 못하는 문제인데요. 로그상의 내용과 같이.. 관리페이지 메뉴중 정보 -> 서비스 관리자를 클릭하시면 제어판의 서비스 … 더 보기…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