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프린터는 어떠한 경우에도 회원가입, 카드결제를 요구하지 않습니다.

모두의 리모트+ v0.14 업데이트

모두의 리모트+ 업데이트입니다.모두의 프린터도 모두의 PDF도 아닌 ㅋㅋ … 리모트요 ㅋㅋ 리모트 ㅋㅋ 모두의 리모트 서버에 접속하는 방법은 2가지가 있습니다. PIN 번호는 동일하게 사용되는데 원격호출 패스워드 또는 인스턴트 패스워드로 접속이 가능한데요.. 둘의 차이점은 ..원격호출패스워드는 바로 원격제어가 시작되고 인스턴트 패스워드로 접속할 경우 서버측에 인스턴트 접속요청이 있음을 알리고 해당 컴터에서 허용을 해줘야 원격제어가 시작됩니다. 이렇게 말이죠 .. 한마디로 .. 원격호출 패스워드는 내가 내 컴터에 원격제어 할때..인스턴트 패스워드는 남에게 내 컴터를 원격제어 요청을 하려할때 .. 임시로 사용할 패스워드를 랜덤하게 만들어서 알려주고 내가 허용을 해야만 제어가 가능하게 하려는 의도로 만들어진 겁니다.그래서 인스턴트 패스워드는 실행시마다 매번 달라지고 “재생성” 버튼을 눌러서 갱신도 … 더 보기…

모두의 리모트+ v0.13 업데이트

오랜만에 모두의 리모트를 업데이트합니다. 그간 수정해야지 수정해야지 하면서 미뤄뒀던 부분들을 좀 수정했습니다.1. 클라이언트 접속 프로필 기능 추가 기존 버전은 매번 PIN번호와 패스워드를 기억하거나 어디 다른곳에 복사해두고 매번 입력해서 사용해야 했습니다만 최근에 자주 사용을 하다 보니 조금 불편하더라고요.. 그래서 기능을 추가했습니다.프로필 관리에서 추가 버튼을 클릭하시면 이렇게 프로필명, PIN, 패스워드를 입력 가능한 창이 뜨게 됩니다. 프로필 명과 PIN은 필수 입력이고요, 패스워드는 입력해도 되고 안 해도 됩니다. 보안을 중시하셔서 매번 패스워드 정도는 직접 입력해가며 사용하실 거면 패스워드는 비워둔 채 적용하시면 되겠고요, 패스워드까지 다 입력해서 적용하시면 프로필 목록에서 더블클릭하면 바로 접속이 가능합니다. 프로필의 수정이나 삭제는 위와같이 수정하거나 삭제하고 싶은 프로필을 … 더 보기…

모두의 리모트+ v0.12 업데이트

모두의 리모트 플러스 .. 오랜만의 업데이트입니다. 희한하게 모두의 리모트는 추석연휴에;;; 손을 대네요 .. 첫 버전을 만든것도 작년인가 제작년 추석연휴에 만들었던 기억이 있는데.. 희한합니다 ㅎㅎ 추석만 되면 손대고 싶어지는 ㅋㅋ 모두의 리모트가 2가지 버전으로 배포를 해왔는데요.. 원격제어를 받는 측에서 수락, 거부를 기반으로 하는 버전과 핀번호와 패스워드 기반으로 바로 원격제어가 가능한 모두의 리모트 플러스 2가지 버전으로 배포를 해오다 기존 수락 기반의 모두의 리모트는 얼마전에 배포글을 내렸습니다. 원격제어라는게 .. 내 컴퓨터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도 사용하고 .. 다른 사람의 컴퓨터를 원격제어 하는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는 관계로.. 이 두가지 케이스를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 모두의 리모트 플러스(이하 모리플)의 업데이트를 … 더 보기…

모두의 리모트 플러스 서버 v0.11 업데이트

모두의 리모트는 실행시에 윈도 방화벽에 허용되는 앱 등록을 하는데요.. 이걸 ;; 실행시에 추가하는데 ..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나 종료시에 해제하거나 하는 등의 코드를 작업은 해두고 .. 제대로 실행을 안시키고 있었네요. 그래서 아마 v0.1 서버를 사용중이시면 .. 이 허용되는 앱에 MORPLUS_Server.exe 규칙이 여러개가 계속 쌓여계실겁니다. 관련 문제를 해결한 버전입니다. 클라이언트는 다른 수정사항을 작업중이라.. 서버만 우선 먼저 올립니다. 다운로드 받은 0.11 서버 압축을 푸시고.. 기존에 사용하시던 폴더에 ..  요 파일만 덮어 씌우셔도 됩니다.  기존에 MORPLUS_Server.exe 에 대한 방화벽 허용 규칙이 다수 존재하더라도.. 새버전 서버를 실행하시면 하나 외에는 다 알아서 정리합니다. 일일이 지우실 필요 없습니다. 이상입니다.

모두의 리모트 플러스 v0.1

지금은 모프 오픈채팅도 중단 하였고 .. 모프 사용자들에 대한 원격제어도 중단 하였지만 기존에 사용자들을 원격제어로 문제를 해결해 오면서 팀뷰어, 애니데스크 같은 무료라고 쓰고 결국 유료인 프로그램을 사용해오다 .. 제한에 걸려서 이런저런 원격 프로그램을 전전 긍긍하다 빡쳐서 만들었던게 모두의 리모트라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기본적으로 TightVNC의 환경설정과 공유기 환경하에서 번거로운 포트포워딩을 UPnP를 통해 자동으로 처리해주는 랩퍼(Wrapper) 형태의 프로그램이었는데요 .. MFC로 급조된 프로그램이기도 했고 기존 모두의 리모트의 경우 원격제어는 보통 제가 하는거고 본인 컴퓨터 앞에 앉은 사용자가 받는 측이 되는터라 PIN번호를 통해 상대방에게 “원격제어 요청이 있는데 수락 할텨 말텨?” 이런 과정을 거쳐가며 돌아가는 프로그램이었습니다. 팀뷰어 같은 놈이 아니더라도 .. 윈도 자체에도 …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