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두의 프린터는 업데이트가 매우 잦은 프로그램이고 UI도 DOS 콘솔 형태에서 웹UI방식을 거쳐 지금은 네이티브 윈도 GUI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변화해 왔습니다.
그렇다 보니 모두의 프린터의 상세 기능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을 할 시간이 마땅치 않아 제대로된 메뉴얼조차 작성하지 못했던 것도 사실입니다.
상세 기능 설명을 진행을 했었으나 ;; 5년 넘게 개발해온 프로그램이고 그 세부 기능 자체도 자주 변경이 일어나는 와중에 진행하기엔 힘든 면이 있어서 차일 피일 미루다보니 .. 지금까지 왔는데요 이젠 좀 간단하게나마 전체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이 필요한 시점인 것 같아 작성해 봅니다.
현재 모두의 프린터는 3.25버전이 최신버전이고 평균 최소 한달에 한번 꼴로 업데이트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필요한 대부분의 기능들은 이미 구비가 된 상황이라 큰 구조적 변화가 있을 것 같진 않지만 .. 기존같이 마냥 업데이트 안내글의 내용을 사용자들이 한땀 한땀 찾아가며 인지하도록 놔두는건 좀 그렇네요..
이 글을 통해 .. 불친절한 모두의 프린터 오명(?)을 좀 벗어나고자 합니다.
기본적인 설치 및 사용법에 대한것은 제 유튜브에 주기적으로 올리는 기본 설치 및 사용법에 대한 영상을 참고바랍니다.
윈도 트레이 메뉴


모두의 프린터가 실행되면 윈도 트레이 메뉴에 모두의 프린터 아이콘이 추가됩니다. 마우스 우클릭을 통해 팝업되는 메뉴에 대해 설명 하겠습니다.
- 모두의 프린터 홈페이지 – 모두의 프린터 배포 블로그를 웹브러우저로 열어줍니다.
- 환경설정 – 모두의 프린터는 환경설정 창을 닫더라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환경설정 창을 닫은 상태로 쓰시다가 환경설정 창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메뉴로 호출하시면 되겠습니다.
- 저장 경로 열기 – 변환되는 PDF등이 저장되는 경로를 탐색기로 열어줍니다. 환경설정 창을 띄우지 않고 쓰시는 경우에도 이 메뉴로 바로 저장경로를 열 수 있습니다.
- 트레이 아이콘 제거 – 이 기능은 일부 프린터 제한 플러그인이 모두의 프린터를 막기 위해서 윈도 트레이에 모두의 아이콘이 존재하면 모두의 프린터가 동작중인 것으로 인식하여 출력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하여 이 트레이 아이콘을 제거해주는 기능입니다.
- 환경설정창 최대화 – 최근 고해상도(QHD, 4K)모니터가 일반화 되면서 MS윈도를 설치한 초기 상태의 화면 배율이 100%가 아닌 150%나 175%로 설정된 컴퓨터를 사용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HD해상도에서도 환경설정창이 짤리지 않고 표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습니다만 FHD에서 175%화면 배율을 가지거나 하는 경우에는 환경설정창 자체가 전체 화면을 벗어나서 제대로 사용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이 ‘환경설정창 최대화’ 를 선택하시면 모두의 프린터 환경설정창을 전체 화면크기에 맞게 꽉 차게 배치해줍니다. 환경설정창이 화면을 벗어나서 제어를 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 재시작 – 모두의 프린터를 재시작 시킵니다.
- 모프 종료 – 모두의 프린터를 완전히 종료시킵니다.
환경설정창 설명

- 경로 – 변환된 PDF나 JPG이미지 등이 저장되는 경로입니다. 기본은 ‘문서’ 폴더를 기본 경로로 실행됩니다. 직접 경로를 입력하시거나 ‘저장폴더변경’ 버튼으로 선택해서 변경 가능합니다. 저장 경로 또한 치환자 사용이 가능합니다. 년,월,일,시,분,초 등을 활용해서 분리된 폴더를 새로 생성해가며 저장시킬 수도 있습니다.
- 저장폴더열기 – 저장경로를 탐색기로 열어줍니다.
- 저장폴더변경 – 저장경로를 변경하는 폴더 선택 다이얼로그를 호출합니다.
- 기본폴더사용 – 기본 저장경로인 ‘문서’ 폴더로 저장경로를 변경합니다.
- 저장파일명 – 저장되는 파일의 명칭을 지정합니다. 기본은 MOP이며 같은 파일명이 존재시에는 MOP (1), (2), (3) 등 숫자를 붙여서 저장합니다. 파일명에는 치환자 지정이 가능합니다. 년($Y), 월($M), 일($D), 시($H), 분($I/대문자 아이), 초($S), 문서명($X), 컴퓨터명($N)을 사용가능하며 치환자는 파일 저장시에 해당 정보로 바꿔서 저장됩니다. 치환자에 대한 내용은 화면상에도 표시되어 있으니 참고바랍니다.
- 문서명 제외 필터 – 문서명 제외 필터는 $X치환자를 사용해서 문서명을 파일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일부 프로그램에서 파일의 확장자나 불필요한 내용이 제목에 포함되는 경우 해당 내용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가능한 기능입니다. 이 버튼을 클릭해서 나오는 창에 ;로 구분해서 제거할 내용을 입력하시면 되겠습니다.
- PDF패스워드 – 변환 포맷을 PDF+패스워드로 지정한 경우에 사용되는 패스워드입니다. PDF+패스워드 형식으로 변환을 하고 패스워드가 지정된 경우에는 변환된 PDF는 패스워드 보안이 걸린채로 생성됩니다.
- 저장파일목록 – 저장설정 섹션의 리스트는 모두의 프린터로 변환된 파일들이 추가되는 목록입니다. 인쇄완료후 이 목록에 해당 파일의 파일명과 문서의 제목 출력 날짜등이 표시됩니다. 이 목록에서 특정 라인을 더블클릭하면 해당 파일이 선택된 상태로 탐색기로 열어줍니다.

프린터 목록입니다. 시스템에 설치된 프린터들 중 모두의 프린터와 관련 있는 프린터들을 보여줍니다. Fax 나 한컴PDF, 알PDF, Microsoft Print to PDF 등의 것들은 표시되지 않습니다. 이 목록에 표시된다 해서 모든 프린터가 모두의 프린터용의 프린터인건 아닙니다. 제 경우에도 Samsung M2070 Series 의 경우 종이 출력용 물리 프린터입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CLX-6200, CLX-6240 2개의 프린터를 모두의 프린터 용도로 설치하고 설정해 둡니다. 사용자가 의도적으로 다른 프린터 드라이버를 모두의 프린터 용으로 사용하려 하는게 아닌이상 이 두 프린터가 모두의 프린터용 프린터라 보시면 됩니다.
관련내용은 유튜브 영상으로도 제작해 두었으니 참고바랍니다.

환경설정창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로그화면입니다. 이 로그 리스트에 모두의 프린터의 동작과 관련된 모든 내용이 표시됩니다. 변환 과정 뿐 아니라 설정 과정, 오류 상황등에 대한 내용이 로그에 표시되니 정상 동작 유무는 항상 이 로그의 내용으로 판별하시면 되겠습니다.
파일 메뉴

1. 병합모드 설정
병합모드는 여러번의 인쇄를 하나의 PDF로 합쳐서 변환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하는 기능입니다. 이 ‘병합모드 설정’ 메뉴를 선택하면 ..


해당 메뉴의 명칭은 ‘병합모드 설정’ -> ‘병합모드 해제’로 변경되며 로그에는 ‘PDF병합모드를 설정합니다. 이후 출력데이터는 병합모드 해제시 일괄 변환됩니다.’ 라는 내용이 출력됩니다.

이후 모두의 프린터용 프린터로 출력을 진행하시면 위와 같이 ‘병합데이터에 추가하였습니다. 총 X개의 문서가 병합대기중입니다.’ 라는 메시지가 계속 출력됩니다. 병합할 출력을 모두 마치신 후에 파일 -> 병합모드 해제 메뉴를 선택하시면 …

위와 같이 ‘병합에 성공하였습니다. 저장폴더열기를 통해 변환파일을 확인 가능합니다.’ 라는 로그 메시지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출력한 순서대로 하나의 PDF로 병합된 파일을 얻을 수 있습니다.
병합모드는 변환포맷이 PDF인 경우에만 동작합니다. JPG등의 이미지 포맷으로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변환되지 않습니다.
2. 병합모드 알림창 사용


병합모드 사용시 로그에 기본적으로 병합모드 진행 상태가 표시되긴 합니다만, 좀더 명확하게 알기 바라는 사용자 분들이 계셔서 이 ‘병합모드 알림창 사용’이 체크되어 있는 경우 병합모드의 진행, 완료 사항이 윈도 트레이 위 알림창으로도 팝업됩니다.
3. 원본(PS/Postscript) 파일 뷰어, 수동변환

모두의 프린터는 PS(Postscript) 또는 PCL 방식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대상으로 수신된 원본(PS,PCL)데이터를 Artifex 사의 고스트스크립트(Ghostscript)를 통해 PDF등으로 변환을 합니다. 변환 전의 원본 데이터를 보관할지 변환 완료 후 삭제할지 여부등도 옵션으로 설정이 가능하지만 만약 변환 과정중에 고스트스크립트가 존재하지 않거나 시스템 자원 부족등의 이유로 변환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원본파일의 삭제 유무에 대한 옵션과 상관 없이 무조건 저장경로에 원본파일을 남겨두게 됩니다. 이때 남게 되는 파일의 확장자는 ps 라는 확장자를 사용하게 되구요. 이렇게 PDF등으로 변환은 실패하였지만 원본 ps 파일은 가지고 있는 경우에 해당 ps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고 수동으로 PDF등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원본(PS/Postscript) 파일 뷰어’ 메뉴를 통해 PS파일을 열게되면..

고스트스크립트를 통해 PS파일의 내용을 볼수 있는 창을 띄워줍니다. 이렇게 정상적으로 내용이 표시되는 ps파일이 존재한다면 변환과정에서의 오류일 뿐 실제 출력 과정 자체는 문제 없이 완료 되었다는 말이 됩니다. 보통 프린터 제한이 존재하는 사이트들은 유료인 경우가 많고 출력 횟수에 제한이 걸리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혹시나 변환은 실패 하였더라도 저장된 원본(ps)파일만 있다면 이 기능을 통해 우선 내용을 확인 하신후에 ‘원본(PS/Postscript) 파일 수동변환’ 메뉴를 통해서 PDF등으로 변환 가능하십니다. 이때 적용되는 변환 옵션은 후에 설명할 변환설정에 따라서 PDF나 JPG등으로 변환이 가능합니다.
4. Ghostscript / GhostPCL 설정

모두의 프린터는 PS/PCL 데이터의 PDF변환을 위해 Artifex 사의 Ghostscript/GhostPCL을 사용중입니다. 해당 라이선스에 따라서 모두의 프린터 초기 실행시에도 관련 라이선스를 고지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두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지 말지에 대한 여부를 선택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만 .. 일단 무조건 않하는 쪽을 선택하는 분들도 워낙 많으셔서 초기 실행 과정 이후에도 관련 설정을 변경 가능하도록 제공하는 메뉴입니다.
이 메뉴에서는 Ghostscript, AGPL, Artifex 라이선스등의 링크를 제공하고 만약 사용자가 모두의 프린터에서 사용하는 버전이 아닌 특정 버전의 Ghostscript / GhostPCL을 사용하고자 하는경우 해당 실행파일의 위치를 직접 입력해서 원하는 버전의 Ghostscript / GhostPCL을 사용 가능하도록 제공도 하고 있습니다.
‘Ghostscript / GhostPCL 사용 안함’을 체크하시는 경우 모두의 프린터를 통한 PDF자동변환은 동작하지 않습니다. 직접 알아서 변환을 하셔야 합니다.
일반 사용자 분들은 이 메뉴는 크게 손댈일이 없습니다. ( 없어야 합니다 .. 건들지 마세요 ㅠㅠ )
5. 구버전 Ghostscript / GhostPCL 제거
모두의 프린터는 오랜시간 초기 실행시에 Ghostscript 의 설치 프로그램을 통해서 Ghostscript를 설치해 왔습니다..만 최근에 모두의 프린터가 사용하던 Ghostscript의 버전에 취약점 보고가 있어서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를 하면서는 모두의 프린터가 직접 알아서 설치과정을 처리하도록 수정 하였습니다.
최신버전의 Ghostscript를 적용하면서 취약점이 존재하는 구버전은 자동으로 삭제하도록 업데이트는 하였으나 혹여나 예전부터 모두의 프린터를 사용해 오시던 사용자들의 컴퓨터에는 취약점이 존재하는 구버전의 Ghostscript가 여전히 설치된 채로 남아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추가한 메뉴입니다.
이 메뉴를 선택하시면 과거 구버전의 모두의 프린터와 함께 설치 되었던 취약점이 존재하는 Ghostscript 9.45 버전을 제거해줍니다.

만약 이미 제거된 상태거나 구버전이 설치된적 없는 경우에는 위와 같이 ‘구버전에서 설치된 Ghostscript / GhostPCL이 없습니다’ 라고 표시됩니다.
6. 모두의 프린터 제거

모두의 프린터는 여러 이유로 인스톨러를 통해 설치되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인스톨러로 설치가 되면 제거를 위한 언인스톨 정보를 비롯한 여러 정보가 레지스트리 등에 남게 되는데요 이러한 정보를 뒤져서 모두의 프린터가 존재하는 PC라는 이유로 실행여부 상관 없이 출력을 차단하는 사이트들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모두의 프린터는 단일 실행파일로 배포가 되고 실행과정에서 필요한 환경은 알아서 구성하는 형태로 발전해 왔습니다.
많은 분들이 모두의 프린터를 항시 사용하시거나 그냥 저장 해둔채로 쓰시는 편이지만 .. 해킹툴 취급은 하시면서도 사용은 하려 하시는 ㅎㅎ 분들도 많으신 관계로 이 메뉴를 선택하시면 모두의 프린터가 구성한 모든 환경을 제거합니다. Ghostscript / GhostPCL을 비롯 설치한 CLX-6200, CLX-6240 프린터도 제거하구요 실행파일과 같은 위치에 생성되는 (config)로 시작하는 설정파일 폴더도 제거하고 마지막으로 실행파일 자체도 삭제를 해줍니다.
7. 종료 후 재실행, 모두의프린터 실행 종료
종료 후 재실행은 말 그대로 모두의 프린터를 종료 시키고 다시 실행해주며 모두의프린터 실행종료는 모두의 프린터를 완전히 종료 시킵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서비스로 등록되는 방식의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출력이 필요할 때마다 실행시켜야 하는 일반 프로그램입니다. 계속 PDF출력이 필요하신 상황이시면 그냥 환경설정창을 닫으십시요. 모두의 프린터 자체는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동작합니다.
프린터 메뉴

1. 시험인쇄
모두의 프린터 설치 및 사용설명 영상에서 항상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설명하는 그 ‘시험인쇄’ 입니다.

프린터 목록에서 시험인쇄를 진행할 프린터를 선택(체크)하신 후에 ‘프린터 -> 시험인쇄’ 메뉴를 선택하시면 체크한 프린터에 대해서 시험인쇄를 진행합니다.
이 기능은 제가 따로 어떤 내용을 만들어서 출력하는게 아닌 MS윈도의 프린트 스풀러가 제공하는 테스트 페이지 인쇄 기능을 통해서 이뤄집니다.


이런 각종 제어판이나 시스템 설정등에서 제공하는 테스트 페이지 인쇄와 동일한 기능을 좀더 쉽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메뉴입니다. 당연히 모두의 프린터용으로 설치/설정된 프린터가 아닌 종이 프린터를 대상으로 진행하면 .. 당.연.히 종이로 나오겠지요?
2. 프린터서버 수동시작
모두의 프린터는 IP프린터를 소프트웨어로 구성한 프로그램입니다. 그렇다 보니 인쇄 데이터를 수신 받기위한 서버기능을 내장하고 있습니다. 문제는 모두의 프린터를 막기 위해서 출력 진행 전에 Standard TCP/IP 프린터 포트가 사용하는 9100번 포트에 서버가 동작중이면 모두의 프린터가 실행중인 것으로 인식해서 출력을 제한하는 사이트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는 겁니다. 그런 이유로 모두의 프린터는 실제 인쇄 작업이 시작되어 인쇄대기열에 작업이 추가되기 전까지는 프린터 서버를 동작시키지 않습니다.
간혹 윈도 프린터 스플러 서비스에 손상이 있거나 기타 다른 DRM관련 보안 프로그램들이 동작중이면 제대로 인쇄 작업의 진행 여부를 확인 할 수 없는 컴퓨터들이 존재합니다. 이런 경우를 위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모두의 프린터의 프린터 서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합니다.
별 문제없이 시험인쇄를 통해 PDF 변환등이 성공하는 대부분의 PC들에서는 이 기능은 사용하실 일이 없습니다.

보통은 이 메뉴를 사용하더라도 .. 인쇄대기열에 대기중인 작업이 없는 경우에는 인쇄작업이 존재하지 않는다며 위와 같이 동작이 무시됩니다.
3. 자동설정
이 기능은 프린터 목록에서 선택(체크)한 프린터의 포트설정을 모두의 프린터 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기능입니다. 보통은 모두의 프린터 초기 설치시에 같이 설치되는 CLX-6240, CLX-6200 두 프린터를 사용하시는 편이고 대부분 모두의 프린터가 알아서 초기 설정까지 알아서 해주니까 이 기능까지 사용하시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만..
간혹 포트 설정이 제대로 되지 못해서 포트명이 FILE, LPT1 등으로 잡혀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등에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보통은 그냥 이 상태로 .. 그러니까 아이피 대역이 127.0.0.2~127.255.255.255 인 상태로 두고 ‘자동설정 실행’을 하시면 됩니다.

아이피 대역은 127.0.0.2~127.255.255.255 외에도 10.0.0.0, 172.16.0.0, 192.168.0.0 대역등 보통 사설 아이피라 말하는 IP대역들을 추가로 선택해서 구성 가능합니다…만!!
127.0.0.2 를 제외한 나머지 대역들은 시스템에 추가적으로 로컬 루프백 아이피를 생성해서 처리되는 방식이라 굳이 선택하시지 마시길 권장드립니다.
이 기능이 존재하는 이유는 모두의 프린터 배포 초기에 많은 업체들에서 모두의 프린터를 막기 위해 참 다양한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예를들어 흔히 로컬호스트라하는 127.0.0.1 아이피를 가지는 프린터는 출력을 제한하기 시작했고 모두의 프린터가 127.0.0.2~127.255.255.255 사이의 아이피 대역으로 랜덤하게 설정해서 쓰기 시작하니 아에 127. 으로 시작하는 아이피를 가진 프린터는 모두의 프린터 용으로 판단, 출력을 제한하는 일들이 많았습니다.
그런 이유로 127.~로 시작하는 대역 외에도 흔히 많이 쓰이는 사설 아이피 대역까지 모두의 프린터의 프린터 설정에 사용 가능하도록 기능을 추가해 둔 것인데요.. 최근에는 이렇게 아이피를 기준으로 출력을 차단하는 경우는 거의 없는 편이니 아이피 대역은 건들지 마시길 권장합니다.
기술은 돌고 돈다고 언제고 또 같은 방식으로 모두의 프린터를 막으려는 시도가 있을수 있을것 같아서 기능 자체는 뺴지 않고 유지하고 있는 중입니다.

자동설정을 진행하시면 로그에 내역이 출력됩니다.
4. 수동설정

자동설정과 같이 프린터 목록에서 선택(체크)한 프린터를 대상으로 동작하는 기능입니다. 자동설정은 모두의 프린터가 알아서 아이피대역을 랜덤하게 생성해주는 반면 수동설정은 제가 제공하는 모프VM 가상머신 이미지를 사용하거나, 따로 릴레이서버를 설치해 사용하시는 경우에 수동으로 릴레이서버가 동작중인 PC나 가상머신의 IP주소를 입력해서 프린터 설정을 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이 기능은 현재로써는 모프VM가상머신이나 릴레이서버를 따로 구성해서 사용하시는 일부 사용자들을 제외하면 사용할 일이 없는 메뉴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공용릴레이 서버를 운영 하면서 굳이 가상머신이나 릴레이서버를 연동해야 하는 경우는 드물기 때문에 .. 대부분의 사용자 분들은 건드리실 필요 없는 기능입니다.
5. UPnP설정
지금은 YBM토익을 비롯한 모두의 프린터를 매우 강력하게 막으려 하는 몇몇 사이트에서만 필요한 기능이긴 합니다. 이런 사이트들은 2대의 PC가 필요한 관계로 릴레이서버나 모프VM 가상머신 연동 방식등도 제공하지만 UPnP를 지원하는 공유기 (대표적으로 IPTIME)를 쓰는 환경이라면 공유기를 마치 다른 컴퓨터인냥 릴레이 서버 용도로 써서 마치 공유기의 외부인터넷 아이피(WAN)가 프린터인냥 설정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단, 최근에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와이파이 공유기를 쓰시는 경우도 많고 커피숍 같은 곳에서도 KT, SKT등에서 제공하는 공유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UPnP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환경이 아닌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어서 이 기능은 .. 일반적인 방법으로 모두의 프린터를 사용 할 수 없는.. 몇몇 사이트 외에는 크게 쓰실일 없으실 겁니다.
이마저도.. 공용 릴레이서버를 운영하고 난 뒤에는 .. 굳이 내 데이터가 외부를 거쳐서 다시 수신 받아야 하는게 싫어서 내 컴터 안에서 모든걸 다 처리해야만 한다 라는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쓸 이유가 없어진 기능이기도 합니다.
UPnP는 공유기의 포트포워딩을 동적으로 설정해주는 기능이며 모두의 프린터에서는 UPnP 포트포워딩 설정을 할때 30분간만 유효하도록 설정합니다. 30분내에 출력을 하지 않으시는 경우에는 다시 UPnP설정을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UPnP설정을 통해 출력을 하신 후에는 다시 자동설정을 해주셔야 .. 해당 프린터로 정상 사용이 가능합니다.
6. 공용 릴레이 서버 설정
모프VM을 통한 가상머신 설정, UPnP설정등 특정 환경이 아니거나 전문적인 지식이 없으면 하기 힘든 복잡한 과정 없이 조금 편히 사용가능한 방법을 오랜시간 고민해오다 추가하게된 기능입니다. YBM토익과 같이 매우 본격적으로 모두의 프린터를 막으려 하는 경우에도 이 기능을 통해서 출력이 가능합니다.
공용 릴레이 서버에 대한 설명은 기존에 작성된 글의 링크를 참고바랍니다. 다시한번 부탁드립니다. 공용 릴레이 서버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출력 불가능한 몇몇 사이트만을 위해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인터넷 강의 사이트들은 공용 릴레이 서버 없이도 출력이 가능합니다. 수백 메가바이트에서 기가바이트를 넘어가는 대용량 강의 데이터 같은 것들을 공용 릴레이 서버를 통해서 출력 하시면 과도한 트래픽 요금의 발생으로 공용 릴레이 서버를 운영하기 힘들어 집니다.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인 만큼 모든 사용자 분들께서 주의 해서 사용해 주시길 바랍니다.
7. 기본프린터 설치안함
모두의 프린터는 초기 실행시에 Samsung CLX-6240, CLX-6200 Series PS 두 프린터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설치를 하고 설정을 합니다만 알 수 없는 원인으로 이 두 프린터의 설치가 불가능 한 컴퓨터들이 있습니다. 물론 모두의 프린터 환경설정의 기능중 프린터 설치에서 여러 프린터 드라이버를 제공하고 있긴 합니다만 따로 설치 가능한 특정 드라이버를 써야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모두의 프린터 실행시마다 계속 기본 프린터를 설치하려고 시도를 하고 오류가 발생하고 하는 상황이 일어날수도 있어서 CLX-6200, CLX-6240 두 프린터에 대한 설치시도를 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역시나 별 문제 없이 두 프린터가 설치되는 경우라면 이 메뉴도 사용할 일 없습니다.
8. 프린터 목록 갱신
모두의 프린터를 통해 프린터를 추가하거나 삭제하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프린터 목록을 갱신 합니다만, 모두의 프린터가 제공하는 드라이버가 아닌 다른 드라이버를 모두의 프린터 실행 후에 따로 설치를 하신 경우에는 목록에 적용이 안될수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이 프린터 목록 갱신 메뉴를 사용하면 시스템에 설치된 프린터 목록을 가져와 갱신합니다.
9. 프린터 설치

모두의 프린터에서 기본으로 설치하는 Samsung CLX-6240, CLX-6200 두 프린터 드라이버로도 대부분의 사이트들에서 출력이 가능합니다만, 간혹 두 프린터 조차 출력가능한 프린터 모델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프린터 설치 메뉴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모두의 프린터에서 제공하는 프린터 드라이버 목록이 표시됩니다. 이중 사이트의 출력가능 프린터 목록을 보시고 출력 가능 모델인 프린터를 찾아 체크하신 뒤에 ‘체크한 프린터 설치’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모두의 프린터에서 사용하기 위한 포트 설정등을 자동으로 수행합니다.
10. 프린터 제거

프린터 목록에서 제거하고자 하는 프린터를 선택(체크)하신 후에 프린터 제거 메뉴를 사용하시면 위와 같이 제거 여부를 묻는 대화창이 뜹니다. 예(Y)를 클릭하시면 선택한 프린터들을 시스템에서 제거합니다.
11. 프린터 포트정리
모두의 프린터는 프린터 설치 또는 자동설정을 진행 할 때마다 새로 생성하는 프린터 포트에 대한 윈도 레지스트리를 생성하게 됩니다. 여러 프린터를 대상으로 모두의 프린터를 사용 하신다거나 UPnP설정을 자주 사용하셔서 자동설정을 자주 쓰시는 경우에는 이 기능을 통해서 현재 어떤 프린터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포트 정보는 싹 정리해 줍니다.

사용되지 않는 포트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위와 같이 ‘X개의 사용하지 않는 프린터포트를 삭제하였습니다.’ 라는 로그가 출력되며

정리할 대상이 없는 경우에는 없다고 로그가 출력됩니다.
12. 장치 및 프린터 제어판

말 그대로 ‘장치 및 프린터’ 제어판을 열어줍니다.
13. 프린터 속성

프린터 목록에서 선택(체크)한 프린터들에 대한 ‘프린터 속성’ 창을 호출합니다. 일반 적으로는 이 창에서 무언가 손을 대실 일은 없습니다만, 프린터에 대한 세부 설정등을 변경하고자 하시는 경우에 제어판 찾아 들어가기 귀찮으니 이 기능을 활용해 보시길 권장합니다.
14. 인쇄 대기열

프린터 목록에서 선택(체크)한 프린터들에 대한 ‘인쇄 대기열’ 화면을 호출합니다. MS 윈도의 프린터 스플러와 관련된 인쇄 작업들은 모두 이 인쇄 대기열을 거쳐서 프린터에 전달됩니다. 모두의 프린터 역시 이 대기열에 추가된 인쇄 작업들이 내보내는 데이터를 수신 받아서 변환을 하는 것이구요 ..
윈도의 인쇄 프로세스가 제대로 동작중인지를 확인 하시려 하실 때는 인쇄 대기열을 띄우신 후에 인쇄를 진행 해보시는 방법이 가장 확실합니다.
설정 메뉴

1. 원본(PostScript) 데이터 삭제
‘원본(PostScript) 데이터 삭제’ 옵션은 기본적으론 체크가 된(ON) 상태가 기본 상태입니다.
모두의 프린터는 PS/PCL 데이터를 사용하는 프린터 드라이버를 통해 생성된 데이터를 수신받아 Ghostscript/GhostPCL을 통해 PDF등으로 변환을 합니다. 이때 PDF변환이 완료되면 수신받아 저장한 원본 데이터는 삭제를 하게 되는데요.
이 ‘원본(PostScript) 데이터 삭제’ 옵션이 꺼져 있으면 PDF등으로 변환을 한 이후에도 ps확장자를 가지는 원본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 보존합니다. 일반적으로 원본 데이터는 PDF에 비해서 파일 용량이 엄청나게 크기도 하고 일반적인 프로그램들로는 내용을 확인하거나 편집할 수 있는 보편적인 파일이 아닌지라 대부분의 경우에는 원본 데이터를 보존할 일은 잘 없습니다.
또한 이 옵션이 켜져 있던 꺼져있던 파일 변환이 실패하는 경우에는 무조건 원본 데이터는 저장경로에 남겨두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남아 있는 원본 ps 파일은

파일 메뉴중 원본 파일뷰어, 수동변환 메뉴를 통해 내용을 확인도 가능하고 PDF등으로 변환도 가능합니다.
2. 윈도 시작시 자동실행
모두의 프린터를 상시 사용하시는 경우에는 매번 실행하기 귀찮으실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이 ‘윈도시작시 자동실행’을 체크하시면 컴퓨터 시작시 자동으로 모두의 프린터가 실행됩니다.
알아두실 사항은 .. 윈도의 작업 스케쥴러에 관련 규칙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동작 하는데 노트북의 경우 전원을 연결한 상태가 아닌 배터리로만 동작하는 상태로 윈도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이 옵션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아래 글을 참고바랍니다.
3. 시작시 환경설정 안보기
모두의 프린터가 실행되면 기본적으로 환경설정창이 자동으로 팝업 됩니다만, 모프를 백그라운드로 상시 사용하시는 분들의 경우 환경설정창을 매번 볼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에 초기버전부터 존재하는 기능입니다. 이 옵션이 체크되어 있스면 모두의 프린터가 실행되더라도 환경설정창은 띄우지 않습니다.
4. 다른이름저장, 다른이름저장시 기본파일 제거
모두의 프린터는 기본적으로 변환되는 파일을 지정된 저장경로에 저장을 합니다만 이렇게 저장되는 파일 외에 원하는 위치에 사본을 저장하고자 하시는 사용자 분들이 계셔서 존재하는 기능입니다.
‘다른이름저장’ 옵션이 켜져 있으면 파일변환이 완료되고 저장이 되면 저장경로를 선택하는 창이 표시됩니다.

저장할 경로와 파일명을 지정하시면 해당 경로에 사본이 저장됩니다. 이렇게 다른이름으로 저장후 기본 저장경로에 저장된 파일은 삭제하고 싶으시면 ‘다른이름저장시 기본파일제거’ 옵션을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5. 저장후 파일 바로열기
PDF 변환 완료후에 파일을 바로 PDF뷰어로 열어서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신 경우에 사용하시면 되는 옵션입니다. PDF파일에 대한 기본 뷰어가 설정 되어 있으셔야 동작가능합니다. PDF파일에 대한 기본 프로그램이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프로그램을 선택하라는 창이 뜰수도 있는데 이는 사용하시는 윈도의 설정 따라 다를수 있고 아무런 반응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아무 반응이 없으시다면 윈도의 기본프로그램 설정중에 PDF에 대한 프로그램을 지정하시기 바랍니다. 최근에는 엣지, 크롬, 파이어폭스등의 웹 브라우저도 훌륭한 PDF뷰어 약할을 해줍니다.
6. 저장후 다른 프린터로 바로인쇄
PDF 변환이 완료된 후에 저장된 PDF를 바로 종이프린터로 출력을 하려 하시는 경우에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이 옵션이 활성화 되면 PDF 저장후에 이렇게 프린터 선택하는 인쇄창이 뜨게 되고 출력하실 프린터를 선택 하신후에 확인을 클릭하시면 출력이 진행됩니다. 당연한 말이지만 여기서 또 모두의 프린터용 프린터를 선택하시면;;; 아니됩니다.
7. PDF변환시 이미지 제외, 텍스트 제외, 벡터데이터 제외
PDF를 구성하는 정보는 크게 이미지, 텍스트, 벡터데이터 3가지로 구성되겠습니다. 이러한 구성요소중 특정 요소들은 제외하고 PDF를 만들어주는 기능입니다.

이런 문서가 있을때 .. 이미지를 제외하면 상단의 프린터 이미지가 제외 됩니다.

텍스트를 제외하면 ..

이렇게 저장이 되겠습니다. 벡터까지 다 제외를 하면 아무것도 없는 PDF가 생성 되겠지요 ..
8. 소리끄기
변환 완료시 나는 띵동~ 소리를 꺼줍니다.
9. 변환포맷

수신 받은 원본 PS/PCL 데이터를 어떤 포맷으로 저장할지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 PDF – PDF 흔히 말하는 그 PDF
- JPG – JPEG 이미지 포맷입니다. 페이지별로 개별 이미지 파일로 저장됩니다.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이미지 포맷이며 압축률(퀄리티)는 75%로 저장됩니다.
- TIFF – TIFF 이미지 포맷입니다. 페이지별로 개별 이미지 파일로 저장됩니다. 압축 포맷이 아님으로 저장된 이미지 크기가 매우 큽니다.
- BMP – BMP 이미지 포맷입니다. 페이지별로 개별 이미지 파일로 저장됩니다. 압축 포맷이 아님으로 저장된 이미지 크기가 매우 큽니다.
- PNG – PNG 이미지 포맷입니다. 페이지별로 개별 이미지 파일로 저장됩니다. 압축 포맷이 아니지만 TIFF, BMP보다는 그나마 품질 대비 용량은 준수합니다.
- PDF+패스워드 – 패스워드 보안이 걸린 PDF로 저장합니다. 환경설정 메인 화면의 PDF 패스워드에 입력된 패스워드를 사용합니다. 만약 환경설정창에 PDF패스워드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일반 PDF로 변환합니다.
- TIFF(단일파일) – TIFF이미지는 특이하게 하나의 파일에 여러 페이지를 나눠서 저장이 가능합니다. 이미지로 스캔하되 단일 파일로 생성하고자 하시는 경우에 사용하시면 유용하지만 이미지 뷰어에 따라서는 여러 페이지로 나뉘어진 TIFF파일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하고 첫페이지만 보여주기도 합니다. 비압축이라 용량도 매우 큽니다.
- TIFF+LZW압축 – TIFF 이미지 포맷이고 페이지별로 개별 이미지 파일로 저장되지만 LZW로 압축함으로 TIFF치고 용량이 매우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 LZW압축을 지원하지 않는 이미지 뷰어에서는 파일을 볼수 없을 수 있습니다.
- TIFF+LZW압축(단일파일) – 단일 파일에 여러페이지를 담으면서 LZW로 압축하여 용량도 대폭 줄여주는 포맷이지만 역시 이미지 뷰어에 따라서는 파일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할 수 있습니다.
- PDF IMAGE – PDF상의 이미지, 텍스트, 벡터 정보 할것 없이 전부 한장의 이미지로 처리해서 PDF를 만들어 줍니다 이런식으로 만들어진 PDF는 OCR을 거치는게 아닌이상 텍스트나 이미지의 추출이 불가합니다. PDF파일을 직접적으로 수정해서 사용한다거나 하는 일을 방지하고자 하실때 쓰기 좋습니다. 상대적으로 PDF파일의 크기는 좀더 크게 생성될 수 있습니다.
10. PDF 분할변환

일부 인터넷 강의 사이트의 강의자료는 3~40페이지 정도의 자료가 4~5기가바이트 정도 되는 말도 안되는 크기의 원본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파일은 출력자체도 오래걸리지만 변환에도 몇분 이상의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이런 경우에 수신받은 원본 데이터파일을 분할하여 동시에 변환한 후 최종적으로 하나의 PDF로 합쳐주는 식으로 처리하여 좀더 빨리 PDF변환이 가능하도록 추가한 기능입니다.
원본 데이터의 상태에 따라서 이 기능은 오류가 발생할 수도 있고 컴퓨터 사양이 충분한 경우가 아니면 분할한다 해서 무조건 빨라지진 않을 수도 있는 부분이라 ..
분할값을 변화시켜서 테스트 해보신 후 효과가 있다면 사용해보시기 바라며 .. 보통의 경우에는 크게 쓸일 없는 기능입니다.
11. 변환품질(DPI)

일반적인 보급형 프린터들은 300DPI, 최근에는 600DPI나 1200DPI 의 프린터들도 있습니다만 종이에 출력되는 DPI와 화면으로 보는 DPI는 눈에 보이는 크기 차이가 크기 때문에 모두의 프린터는 PDF생성시 기본적으로 300DPI를 기본으로 합니다. 만약 좀더 고품질의 결과를 얻고 싶으시면 600DPI를 선택하십시요. 물리적인 페이지의 크기가 더 커지겠지만 무조건 DPI가 높다고 PDF에 포함된 이미지등의 품질이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어차피 원본 불변의 법칙이라 원본데이터가 150DPI로 만들어진 데이터를 600DPI로 변환한다 하여 품질이 좋아지진 않습니다.
일반적으론 300DPI면 충분합니다.
12. PDF변환 후 JPEG 자동변환
변환 포맷을 다수로 지정할 수 없기 때문에 PDF와 별도로 이미지로도 동시에 변환해서 용도따라 PDF와 이미지를 같이 쓰시려 하시는 경우에 이 옵션을 사용하시면 PDF변환 완료후에 해당 PDF의 각 페이지를 JPG파일로 변환하여 따로 저장합니다.
정보 메뉴

1. 오픈소스 라이선스, 모프 라이선스

모두의 프린터는 저 혼자 모든걸 다 만든게 아닙니다 수 많은 오픈소스 프로젝트의 도움을 받아 만들어진 프로그램입니다. 모두의 프린터에서 사용된 오픈소스 프로젝트들의 라이선스를 보여줍니다.
모프 라이선스는 모두의 프린터의 라이선스를 보여줍니다. 모두의 프린터를 사용한다 함은 이 라이선스에 동의 하셨음을 뜻합니다.
2. 이메일 문의, 광고문의, 개발/운영 후원
이메일문의 – 사용상 문제를 격고 계신데 제 블로그나 유튜브에서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실 경우 이메일 문의 방법을 안내합니다.
광고문의 – 모두의 프린터, 모두의 PDF에 노출되는 무료배너광고에 대한 안내입니다.
개발/운영 후원 – 모두의 프린터는 개인, 기업, 단체 누구나 무료로 사용가능한 프로그램입니다. 사용자들의 작은 후원이 정말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3. 홈페이지 , 유튜브
지금 보고계시는 이 블로그와 사용설명서 영상등을 제공하는 유트브 채널을 열어주는 메뉴입니다.
4. 장애요소

모두의 프린터는 실행시 시스템에 존재하는 알려진 프린터 제한 소프트웨어들을 확인해서 사용자로 하여금 이러이러한 프로그램 때문에 모두의 프린터 사용이 안될수도 있다 라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화면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행시에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기에 필요에따라 따로 호출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메뉴입니다.
5. 서비스 제어판, 시스템 정보


제어판의 서비스 관리자와 시스템 정보를 확인 할 수 있는 윈도 설정 화면을 호출해 줍니다. 컴퓨터 사용에 익숙지 못하신 분들은 이러한 화면을 찾아 가는 것 자체도 힘들어 하시기에 추가해둔 기능입니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